티스토리 뷰

해외여행을 하거나 해외에서 쇼핑할 때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결제할 때 "원화(KRW)로 결제할 것인지, 현지 통화(USD, EUR 등)로 결제할 것인지"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익숙한 원화로 결제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오히려 불필요한 수수료를 더 내게 되어 손해를 보는 선택입니다.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DCC(Dynamic Currency Conversion, 동적 통화 변환) 수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해외에서 원화로 카드 결제하면 손해인 이유

그렇다면 해외에서 원화로 결제하면 왜 손해를 보는지, 이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해외에서 원화 결제를 하면 불필요한 환전 과정이 추가됨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결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지 통화로 결제할 경우

  1. 가게에서 현지 통화(USD, EUR 등)로 결제
  2. 해당 금액이 글로벌 카드 브랜드사(비자, 마스터 등)로 청구
  3. 글로벌 카드사가 미국 달러(USD)로 변환하여 국내 카드사에 청구
  4. 국내 카드사가 원화(KRW)로 변환하여 최종 청구

이 과정에서 적용되는 수수료는 해외 사용 수수료(약 1~2%) 정도입니다.

원화(KRW)로 결제할 경우

  1. 가게에서 원화(KRW)로 결제
  2. DCC(동적 통화 변환)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체 환율과 수수료(3~8%)를 적용하여 원화 금액을 정함
  3. 원화로 청구된 금액을 국내 카드사가 다시 환전하여 고객에게 청구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DCC 수수료입니다.
DCC 서비스 제공업체는 자체적으로 환율을 적용하고 3~8%의 추가 수수료를 붙여서 원화 금액을 책정합니다. 이 금액은 고객에게 불리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한 번 더 불필요한 환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해를 보는 것입니다.


2. DCC(동적 통화 변환) 서비스란?

DCC 서비스란?

DCC(Dynamic Currency Conversion, 동적 통화 변환)란 해외 가맹점에서 외국인이 결제할 때 본인의 모국 통화(원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가맹점이 아닌 제3자 결제 중개업체가 운영하며, 고객에게 환율을 적용할 때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습니다.

DCC 수수료는 얼마일까?

DCC 수수료는 약 3~8%로, 환율 변환 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해외에서 100달러짜리 상품을 결제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현지 통화(달러)로 결제 시
    • 100달러 × 1,300원(예시 환율) = 130,000원
    • 해외 결제 수수료 1.5% 추가 = 131,950원
  • DCC(원화)로 결제 시
    • 100달러 × 1,350원(업체 자체 환율 적용) = 135,000원
    • DCC 수수료 5% 추가 = 141,750원

DCC를 사용하면 총 결제 금액이 약 10,000원 이상 더 비싸지는 셈입니다.


3. 해외에서 원화 결제를 피하는 방법

1) 해외 원화 결제 차단 서비스 신청하기

대부분의 국내 카드사에서는 해외 원화 결제 차단(DCC 차단)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를 신청하면 해외에서 원화(KRW)로 결제할 경우 자동으로 차단됩니다.

카드사별 해외 원화 결제 차단 서비스 신청 방법

카드사 신청 방법
신한카드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
국민카드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
현대카드 앱, 고객센터
삼성카드 앱, 고객센터
롯데카드 고객센터
하나카드 홈페이지, 앱, 고객센터

신청 방법은 각 카드사 홈페이지나 앱에서 '해외 원화 결제 차단 서비스'를 검색해 신청하면 됩니다.

2) 결제할 때 반드시 "현지 통화"로 선택하기

해외에서 결제할 때 카드 단말기에서 결제 통화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반드시 현지 통화(USD, EUR, JPY 등)로 선택해야 합니다.

주요 국가별 통화 코드

  • 미국: USD
  • 유럽(유로존): EUR
  • 일본: JPY
  • 영국: GBP
  • 중국: CNY
  • 태국: THB

3) 영수증 확인 후 결제 취소 요청하기

만약 원화(KRW)로 결제되었다면 즉시 가맹점에 요청해 결제를 취소하고 현지 통화로 다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영수증을 보면 결제 통화가 KRW(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었는지 확인하세요.

  • 현지 통화로 결제됨 → 정상
  • KRW로 결제됨 → DCC 적용됨, 불필요한 수수료 발생

가맹점에서 재결제를 거부하면, 카드사 고객센터에 연락해 환불 요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4. 해외에서 카드 결제할 때 유의할 점

1) 해외 결제 수수료 확인하기

카드사마다 해외 결제 수수료가 다르므로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비자, 마스터카드: 해외 결제 수수료 약 1.1~1.5%
  • 아멕스(AMEX): 약 2%
  • JCB: 약 1.5%

2) 환율 우대가 가능한 카드 사용하기

일부 신용카드는 해외 결제 시 환율 우대(0.5~1.5% 할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행을 자주 가는 경우 이런 카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해외 카드 결제 시 주의할 점 정리

  • 해외 원화 결제 차단 서비스 신청하기
  • 결제 시 반드시 현지 통화로 선택하기
  • 영수증에서 결제 통화를 확인하고 잘못되었으면 즉시 취소 요청하기
  • 해외 결제 수수료가 낮은 카드 사용하기

이렇게 하면 해외에서 카드 결제 시 불필요한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결제를 위해 꼭 기억하세요.


마무리

해외에서 신용카드 결제 시, 반드시 현지 통화로 결제해야 불필요한 수수료를 피할 수 있습니다.
DCC(동적 통화 변환) 서비스는 고객에게 불리한 환율을 적용하고 3~8%의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기 때문에, 무조건 현지 통화 결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지역과 금액, 사용처 총정리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민생회복지원금 지급을 발표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생활 안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경기 침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loan.rudwp.com